왜 Learning by doing?

Learning by doing

가르치는 입장에서의 교육

듀이의 ‘행함에 의한 학습(learning by doing)’의 의미 탐구

교육의 핵심은 경험 속에서 지성에 의한 사고 습관을 형성하는 일 직접경험은 초보단계에서는 필요하다고 볼 수 있으나 이후 교과학습은 학습자의 이전 경험과 새 경험을 이을 수 있도록 의사소통과 상상력을 동반한 사고에 의해 인도되어야 한다. 이 때 사고가 일상적 삶이나 인간본성 속의 에너지인 충동이나 욕망 및 습관을 통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개되도록 학습자의 경험에 유의미한 교육과정을 구성한다. 그 경험은 인지적인 것이 아니라 실천적인 것이다. 즉, 능동적으로 해보는 것의 결과로 알게 되며 그로 인해 일상적 경험의 의미가 확장되고 재구성된다. 듀이에 의하면, 이러한 경험의 완결성으로 욕구나 감각과 정서의 생명 에너지가 더 충만해지고 인간의 능력을 해방하게 된다.

배우는 내가 해야 할 것

  1. 행동, 시도 먼저 (코딩)

    • How: 가능하면 코딩 먼저
      • Now what: 실수의 횟수를 늘려야 기억의 포인트가 많이질까?
      • Now what: 새로운 언어를 배울 때 튜토리얼을 따라만 하지 말고 직접 코딩을 해야 한다. (그런데 말이 쉽지 어떻게..?)
  2. 학습은 이전 경험에 새로운 경험을 덧붙이는 개념 (학습)

    • How: 이전 경험에 새 경험을 잇기
      • Now what: 읽으면서 구조화, 이전 지식과 연결, 질문 기록
  3. 의사소통(글, 대화, 상상력)를 통한 Output (정리)

    • Why: 사고가 습관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면 인지가 아닌 실천
    • 일상적 경험의 의미가 확장, 재구성
    • How: 주입된 지식을 내가 사고하고 기록해야 (틀리더라도)
      • Now what: 기록(나와 남을 위한), 대화(누구든 붙잡고), 시뮬레이션
  4. 반복 추적을 통한 습관화

    • 학습을 정의하자면 "경험을 통해 얻는 행동과 지식에서의 비교적 영속적인 변화"
    • 이건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다. 방대한 양의 공부를 어디서부터 어떻게 복습하고 체계화할 수 있을지..